
우선 관객들의 도보 동선을 대폭 줄였다. 2013 밸리록페 당시 매표소와 캠핑장으로 운영됐던 1만평 가량의 부지는 관객들을 위한 주차장으로 탈바꿈했다. 매표소는 페스티벌 부지에서 도보 5분 거리의 부지에 새롭게 마련했고, 서울과 안산을 오가는 셔틀버스 승, 하차장 또한 페스티벌 부지 인근에 신설됐다.
ADVERTISEMENT
페스티벌 관람에 최적화된 다양한 숙박 패키지 신설도 눈길을 끈다. 올해 밸리록페가 신설한 패키지 상품은 호텔, 찜찔방, 단체숙소 패키지로 세 상품 모두 여성관객을 중심으로 20대 후반~30대 초반 관객들에게 호평 받고 있다. 록 페스티벌의 주요 헤드라이너가 밤늦게 무대에 오르는 점을 감안할 때, 합리적인 가격으로 3~5인실, 찜질방, 호텔 숙박을 선택할 수 있어 귀가 걱정 없이 편히 공연을 즐길 수 있게 된 것. 숙소 주변의 지역 상권 또한 록페 기간 매출 상승이 예상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여름 록페의 ‘공공의 적’이었던 모기 척결에도 미리 나섰다. 지난 5월부터 주최 측과 안산시는여름 록 페스티벌의 대표적인 골칫덩이였던 모기 퇴치에 일치감치 팔을 걷어 붙였다. 방역 대상은 성충을 비롯해 모기 유충까지 방역 범위를 넓혔다. 모기 유충 하나는 4~500 마리 가량의 성충으로 성장하는데 개체 수 증가의 가능성을 미리 차단한 것.
ADVERTISEMENT
우천 시를 대비한 잔디 관리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2년 전 페스티벌 부지 이전 이래 상시적인 관리와 잔디 보호 매트 설치로 진흙탕을 대비한 것. 관객들이 자주 사용하는 수도 시설 부근은 방수공사로 물이 고이지 않게 미리 대비했다.
CJ E&M 음악사업부문 페스티벌팀 측은 “밸리록페 개최 한 달 반을 앞두고 올해 초부터 ‘2015 베러 프로젝트(BETTER PROJECT)’를 단행, 디테일한 부분까지 관객 편의를 위해 꼼꼼히 개선에 나섰다”며 “밸리록페 부지에 들어서는 순간 동선부터 각종 편의사항 까지 달라진 점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오는 7월 24~26일 안산 대부도 바다향기 테마파크에서 개최되는 안산M밸리록페스티벌은 세계 최정상급 아티스트들의 내한을 성사시킨 국내 최고의 음악 페스티벌이다. 현재 푸 파이터스, 노엘 갤러거, 모터헤드 등 美, 英록의 대표주자와 케이컬 브라더스, 데드마우스 등 EDM계 최정상급 DJ의 합류 등 국내/외 최고 아티스트 70여팀이 참여한다. 자세한 소식은 공식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은호 기자 wild37@
사진. CJ E&M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