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오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부산국제영화제 미래비전과 쇄신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임권택 박찬욱 감독, 곽용수 인디스토리 대표, 민병록 동국대 교수, 심재명 명필름 대표 그리고 이용관 부산영화제 집행위원장이 참석했다.
ADVERTISEMENT
최근 부산영화제를 둘러싸고 벌어진 일련의 사태에 대해 박찬욱 감독은 “신작 촬영이 3달도 안 남았는데 이런 자리에 나오라는 연락을 받았을 때 차마 거절이 안 되는 이 상황이 통탄스럽다”며 “잘 굴러가고 있는 몇 안 되는 분야 중에 하나가 부산영화제라고 생각했는데 여기마저 이렇게 되면 이 나리가 어떻게 되려고 하는 것인가 생각이 들었다”고 심정을 전했다.
이어 “이념적인 면을 채색하는 쪽은 영화제가 아니라 부산시라고 생각한다”며 “여태까지 해왔던 프로세스에 의해 다양한 스펙트럼의 영화를 골라왔다. 그 중 하나일 뿐인데, 그걸 문제 삼아 공세를 펼친다면 그게 이념공세”라고 비판했다.
ADVERTISEMENT
특히 이용관 집행위원장이 영화제 발전방안의 하나로 부산시에 공동집행위원장을 제안한 것에 대해 반대 의견이 잇따랐다. 이용관 위원장은 “처음 사태를 권고했을 때 나온 이야기”라며 “시에서 이야기하는 인적 쇄신은 물러나라는 이야기였다. 그래서 영화계와 부산시민이 다 수긍할 수 있는 사람을 위원장으로 모셔오겠다 했다. 그리고 그래서 당분간 공동 위원장 체제를 유지하다 물러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심재명 대표는 “당황했던 부분”이라며 “공동위원장 체제는 원칙에 대한 개선방향이 아니라 타협이라고 생각한다. 부산시와 영화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영화계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소통 과정을 보이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의사를 표했다. 민병록 교수 역시 “좋은 아이디어가 아니다”며 “새 집행위원장이 와도 갈등이 있을 것이고, 이런 선례를 남기면 국내 다른 영화제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반대했다.
ADVERTISEMENT
박찬욱 감독은 “어떤 영화를 상영하면 안 된다는 간섭이 있는 영화제는 들어본 적도 없다”며 “그런 평판이 난다면 누가 그 영화제를 가겠는가. 나 같으면 안 간다”고 지적했다. 또 “언제나 질문하고, 도전하는 영화이고 싶은데 그렇게 심의하는 영화제라면 초청이 수치고 모욕”이라며 “완벽하고 순수하고 깨끗해야 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약간의 훼손은 전체 훼손과 똑같다. 20년간 단 한 편이 그랬다고 해도 그게 20년 영화제의 전체”라며 “그걸 건드리면 더 이상 영화제는 영화제가 아니다. 이런 선례를 남기기 시작하면 모든 게 붕괴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프랑스 문화원 관계자는 “프랑스 문화원과 대사관은 지난 20년간 부산영화제와 좋은 협력관계를 맺어왔다”며 “기관을 대표해서 강한 지지를 표현한다. 제가 생각하는 쇄신안은 자율성, 독립성, 좋은 영화,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텐아시아=황성운 기자 jabongdo@
사진. 텐아시아 DB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