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영은 이진아의 ‘마음대로’를 듣고 “이런 음악을 들어본 적이 없다. 도통 장르를 모르겠는 노래”라고 말했다. 박진영을 위해 이진아의 ‘마음대로’를 굳이 장르적으로 설명하자면, ‘재즈 피아노를 강조한 발라드’ 정도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재즈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진아의 피아노 보이싱(코드 구성음의 배열)을 듣고 미국의 유명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빅밴드 리더인 칼라 블레이(Carla Bley)의 연주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재즈를 전공하는 이들이 공부하는 과정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진아는 우리나라 실용음악과 중 가장 경쟁률이 치열한 서울예술대학교에서 재즈 피아노를 전공했다. 때문에 일종의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칼라 블레이 등 다양한 재즈 피아니스트의 음악을 공부했을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칼라 블레이를 열심히 공부했다고 해서, 그리고 단지 재즈 화성만을 가지고 ‘마음대로’와 같은 노래를 만들기는 어렵다.
ADVERTISEMENT
이어 “R&B는 재즈코드를 원래 자주 사용하기에 가요 쪽 분들도 재즈화성을 익힘이 그들 창작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어떤 음악을 하시던 재즈화성을 배우시라 권하고 싶다. 음악을 더욱 넓고 다양하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물론 재즈를 알아야만 이진아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이 곡에 대해 양현석은 “이게 바로 음악의 힘인 것 같다. 사람을 먹먹하고 멍청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시청자들도 같은 마음이었기 때문에 ‘마음대로’와 같이 난이도가 높은 곡이 음원차트를 휩쓸었을 것이다.
ADVERTISEMENT
“2년 전 향니를 재즈 콩쿨에서 봤어요. 그때는 번지수를 잘못 찾지 않았나 생각했는데 오늘은 제대로 찾아오셨네요. 향니 나이의 뮤지션에게 2년이란 세월은 음악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긴 시간이죠. 그 사이의 변화가 궁금했어요. 향니가 만든 곡은 한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음악인데요. 그런데 6개월 후에도 가슴에 남을 지는 의문이 들기도 해요. 향니의 음악은 듣는 사람을 불안하게 하는 측면이 있어요. 불안하게 하려면 완전히 불안에 빠지게, 미치게 만들면 어떨까요? ‘나를 따르라’는 마음으로 앞장서서 나아가는 거죠.”
글. 권석정 moribe@tenasia.co.kr
ADVERTISEMENT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