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드라마 ‘간서치열전'(왼쪽), ‘연애세포’ 포스터
소리 없이 강하다. 최근 인터넷 스트리밍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드라마가 속속 출시되면서 방송가에 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다. 이름만 들으면 알 법한 스타들이 총출동한 웹드라마도 이미 방송 중이거나, 첫 방송을 앞두고 있다. 지난 27일 첫 전파를 탄 ‘꿈꾸는 대표님’은 배우 백성현과 그룹 포미닛의 멤버 전지윤이 출연했고, 28일 공개된 ‘최고의 미래’는 그룹 걸스데이의 멤버 민아와 배우 서강준 등 인기 스타를 섭외해 화제를 낳았다. 내달 3일 방송되는 ‘연애세포’도 마찬가지다. 배우 김유정, 박선호, 남지현, 백성현을 내세운 ‘연애세포’는 장혁, 김우빈, 박준형, 박희본, 오광록, 임형준, 허지원 등 특급 카메오의 출연을 예고하며 일찌감치 하반기 기대작으로 자리매김했다.지난 19일 방송된 KBS2 ‘드라마 스페셜-간서치열전’도 이례적으로 방송 전 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버 TV캐스트를 통해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매일 자정 총 7편을 웹드라마를 공개했다. 첫 편 공개 이후 17일간(29일 오후 6시 기준) 기록한 누적 조회수만 해도 무려 127만 8,774건. ‘간서치열전’이 KBS가 최초로 시도한 웹드라마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무시할 수 없는 수치다.
ADVERTISEMENT
하지만 몇몇 작품의 가시적인 성과만 놓고서 ‘웹드라마’의 성공을 점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격적인 웹드라마 제작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터라, 상대적으로 여타 방송 채널과 비교해 콘텐츠 제작 노하우가 부족한 탓이다.
일례로 올 한해 시청자를 만난 웹드라마의 수는 10편 이상이지만, 그 중 혁혁한 성과를 거둔 작품은 몇 편이 되지 않는다. ‘후유증’, ‘어떤 안녕’, ‘러브 인 메모리2’, ‘뱀파이어의 꽃’, ‘모모살롱’, ‘꿈꾸는 대표님’ 등 다양한 작품이 전파를 탔으나 작품마다 조회수와 화제성의 편차가 컸다.
ADVERTISEMENT
방송을 앞둔 한 웹드라마의 관계자는 “도전하는 작품에 유명 배우들을 캐스팅하는 건 무리가 따른다. 예산도 많지 않다. 그러다 보니 한 소속사를 중심으로 같은 소속의 배우들이 함께 출연하게 되는 것이다. 여러모로 어려움이 있지만, 계속해서 콘텐츠를 만들며 품질을 높여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예산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도 또 다른 어려움 중 하나다. 보통의 드라마는 광고와 작품 속 PPL(간접광고)를 통해 부족한 제작비를 충당한다. 헌데 웹드라마는 이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포털사이트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때 앞뒤로 광고가 붙기는 하지만, 이마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과 분배해야 한다. 그 수익은 총 제작비와 비교하면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ADVERTISEMENT
웹드라마의 반응이 뜨거워짐에 따라 점차 이와 같은 콘텐츠 제작을 준비하는 이들의 수도 늘고 있다. 걸음마 단계이기는 하지만, 웹드라마 시장 자체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풀어야 할 숙제가 적지 않다. 이제 태동한 웹드라마가 여러 난관을 넘어 ‘미디어 환경의 변화’라는 순풍을 타고 콘텐츠 유통의 새 활로를 개척할 수 있을지에 귀추가 주목된다.
웹드라마 열전① 드라마 시장이 변하고 있다
ADVERTISEMENT
사진제공. KBS, IHQ
[SNS DRAMA][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