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로봇의 위력은 대단했다. 단 5일 만에 260만을 쓸어 담았다. 2014년 26주차(6월 27~29일) 극장가는 오직 ‘트랜스포머:사라진 시대’(이하 트랜스포머4)를 위한 자리였다. ‘엣지 오브 투모로우’와 ‘끝까지 간다’의 2위 싸움은 무척 흥미로웠다. 1만 명 내외로 순위가 결정될 만큼 치열했다. 물론 어디까지나 그들만의 리그다. 4위부터 순위는 의미 없어 보인다.
2014년 26주차 (6월 27~6월 29일) 박스오피스 순위
30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트랜스포머4’는 1,597개(상영횟수 2만 2,416회) 상영관에서 185만 1,260명을 동원했다. 25일 개봉부터 단 5일 동안 누적 관객 수는 무려 263만 8,073명이다. 어마무시한 폭발력이다. 여전한 ‘옵대장’ 옵티머스 프라임과 범블비 그리고 드리프트, 크리스헤어, 락다운, 갈바트론, 다이노봇 등 새롭게 등장한 오토봇은 관객들의 열렬한 환대를 받았다. 좌석 점유율도 28일 55.5%, 29일 51.1%로 50%를 상회했다. 10위권 내 작품 중 이마저도 1위다. 29일 스크린점유율은 42.5%까지 올랐고, 상영점유율은 58.9%로 60%에 이른다. ‘트랜스포머4’만 ‘독점’했던 극장가다.허나, 이 같은 성적도 전편에 비하면 초라(?)하다. 3편(2011년 6월 29일 개봉)의 경우 개봉 첫 주 약 335만 명을 불러 모았다. 4편보다 더 적은 상영관수와 상영횟수다. 2009년 6월 24일 개봉된 2편 역시 개봉 첫 주 300만 명에 약 7,500명 모자란 299만 2,475명을 기록했다. 당시 상영횟수는 1만 6,545회에 불과(?)했다. 제 아무리 ‘트랜스포머’라지만, 변신 로봇에 대한 신선도가 떨어지다 보니 164분에 달하는 긴 러닝타임은 다수 지루할 수밖에 없었다. 1~3편 모두 700만 이상의 흥행을 만들었다. 4편의 흥행은 어디까지일지 관심을 모은다.
ADVERTISEMENT
‘트랜스포머4’의 등장으로 두 작품의 순위 다툼은 더욱 치열해졌다. 390개(4,530회) 상영관에 앉힌 20만 6,772명(누적 434만 6,622명)이 ‘엣지 오브 투모로우’의 성적. 반면 ‘끝까지 간다’는 390개(4,711회) 상영관에서 19만 8,598명(누적 308만 2,991명)을 모았다. 25~26일 ‘끝까지 간다’는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유지했으나 주말 들어서면서부터 3위로 내려왔다. 6월 내내 ‘투톱’으로 호흡을 맞췄던 두 작품, 내려갈 때도 함께 할 것으로 보인다.
# ‘미녀와 야수’부터는 도토리 키재기
ADVERTISEMENT
# 정우성 ‘신의 한 수’, 로봇 군단의 기세를 꺾을까
‘신의 한 수’ 스틸 이미지.
하반기의 시작을 알리는 27주차(7월 4~6일) 극장가의 눈은 단연 정우성에게 쏠려 있다. 딱 지난해 이맘때다. ‘감시자들’로 화려한 부활을 알린 정우성이 1년 만에 ‘신의 한 수’를 들고 돌아왔다. 지난해와 같은 흥행을 올릴지 관건이다. ‘트랜스포머4’의 위력이 생각보다 거세다. 오전 9시 기준, ‘트랜스포머4’는 45.3%로 여전히 높은 예매율을 기록 중이다. ‘신의 한 수’는 9.7%. 순위는 2위지만, 큰 격차다. 상승세가 절실하다. 다른 걸 다 떠나 ‘트랜스포머4’에 오토봇이 있다면, ‘신의 한 수’에는 정우성이 있다. 공포영화 ‘소녀괴담’도 얼굴을 내민다. 물론 작품성 면에서는 실망스럽다. 그다지 무섭지도 않다. 4.1% 예매율 기록 중이다. 그냥 무더위에 기댈 뿐이다. 이 외에 재개봉되는 ‘하나와 앨리스’,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님포매니악 볼륨2’, 북미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른 바 있는 ‘나쁜 이웃들’ 등이 개봉된다.ADVERTISEMENT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