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노아’ 스틸 속 제니퍼 코넬리와 러셀 크로(왼쪽부터)
개봉 7일만에 13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노아’(감독 대런 아로노프스키) 속 상징적인 의미에 대한 제작진의 의도가 밝혀졌다 #1. ‘노아’가 팔에 감는 뱀의 허물! 스스로 선(善)함을 벗은 뱀에 대한 교훈‘선함이 남아있는 허물을 팔에 둘러 선함을 벗지 말자는 가르침’을 상징화
ADVERTISEMENT
제작진은 창세기 3장 21절에 하나님이 아담과 이브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날 때 둘에게 (동물의) 껍질로 만들어진 옷을 주셨다는 데서 고민이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에덴동산에 있는 수많은 동물 중 유일하게 죽이지 않고 껍질(허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뱀 껍질이라는 결론을 얻은 것.
영화에서는 뱀이 허물을 벗는 모습이 여러 번 그려지는 데 이는 본래 창조주가 만든 선한 뱀이 선함을 벗고 그 안에 숨어있는 악함을 드러내는 것을 강조한 장면이라며, 창조주가 아담에게 준 것은 본래의 선함이 있는 뱀의 껍질이며, 선함을 벗지 말아야 한다는 가르침이자 에덴동산 밖의 영혼의 냉혹함으로부터 아담의 후손을 지켜주는 에덴동산의 신성한 조각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영화 ‘노아’ 스틸 속 엠마 왓슨
#2. 성경 속 ‘노아’에게 직접 이야기하는 창조주!영화 ‘노아’에서 계시로 바뀐 이유는?
성경에서 창조주는 ‘노아’에게 세상을 집어삼킬 대홍수가 올 것임을 직접 이야기한다. 특히 창세기에서 “God said to Noah”라고 표현되는 부분에서 ‘say’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해석했을 때, 언어로서 전해지는 말 외에 다양한 수단의 커뮤니케이션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작진은 성경의 의미를 헤치지 않는 선에서 ‘노아’의 꿈, 환영을 통해 창조주의 계시를 표현한 것이다.
ADVERTISEMENT
#3. ‘노아’의 가족은 채식주의자?!
성경에 근거해 상상력을 더했다!
제작진은 ‘노아’의 가족이 채식주의자로 표현이 되는 이유를 창세기에도 언급되어 있는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의 먹을 거리가 되리라(창세기1:29)”에서 근거를 찾았다. 창조주는 고기를 먹을 수 있도록 허락하지 않았으며 이는 대홍수가 끝난 후, 창조주가 무지개를 띄우고 ‘노아’와 그의 후손들이 새로운 약속을 만들어낸 이후에 허락했다. 즉, 대홍수가 있기 전 인간은 식물만 먹을 수 있다는 원칙이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작진은 ‘노아’와 그의 가족들이 창조주의 뜻에 따라 살았다면 당연히 그들을 채식주의자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ADVERTISEMENT
글. 배선영 sypova@tenasia.co.kr
사진제공. CJ엔터테인먼트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EVENT] B1A4 진영, 떨려 네 눈, 네 코, 네 입술 4월 구매 고객 이벤트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