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드라마 리메이크 열풍
2013년은 쏜살같이 흘렀고, 올해도 지상파, 케이블채널을 통틀어 수십 편의 드라마가 쏟아져 나왔다. 드라마들은 각기 다른 매력으로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자 부단히 노력했지만, 모두가 만족할 만한 성적표를 받아든 것은 아니다. “문화콘텐츠는 사회상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이제는 진부하다 싶을 이 문장은 한 가지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망하는 데는 이유가 없어도, 성공한 드라마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 올해 방송돼 시청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은 드라마의 성공 비결을 무엇일까. 텐아시아에서 2013년 한 해 방송된 드라마의 흐름을 되짚어봤다.
SBS ‘수상한 가정부’, MBC ‘여왕의 교실’, KBS2 ‘직장의 신’, SBS ‘그 겨울, 바람이 분다’ 포스터(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2013년 한해, 대한민국 방송가에는 일본 원작 드라마 리메이크 열풍이 거세게 불었다. 최근 종방한 SBS ‘수상한 가정부’부터 MBC ‘여왕의 교실’, KBS2 ‘직장의 신’, SBS ‘그 겨울, 바람이 분다’까지 다수 리메이크 드라마가 우리 곁을 찾았다.하지만 원작의 성공에 기댄 리메이크 드라마가 항상 좋은 성적표를 받아든 것은 아니다. ‘수상한 가정부’는 ‘과도한 원작 베끼기’라는 혹평과 함께 최지우의 연기력이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고, ‘여왕의 교실’ 역시 10%에 못 미친 시청률을 기록하며 초라하게 막을 내렸다.
ADVERTISEMENT
# 케이블 드라마의 반란
tvN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왼쪽), ‘응답하라 1994′ 포스터
다시금 공고해진 케이블채널의 입지를 확인할 수 있었던 한 해였다. 작년 케이블채널 tvN ‘응답하라 1997’, ‘인현왕후의 남자’ 등의 작품으로 케이블 드라마의 가능성을 확인한 몇몇 채널들은 무시할 수 없는 작품 완성도와 트렌디한 감각으로 지상파 드라마를 위협하고 있다.ADVERTISEMENT
‘나인’의 뒤는 ‘몬스타’가 이었다. 국내 최초 음악 드라마를 표방한 ‘몬스타’는 꿈을 잃은 청소년들의 성장과 사랑이라는 줄기 아래 현장 녹음 등의 실험적인 제작 방식을 더해 색다른 드라마를 선보였다. 특히 ‘몬스타’는 음악을 단순히 극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한국 음악사를 되짚는 성과까지 얻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작품이다.
케이블드라마의 대미는 단연 ‘응답하라 1994’이다. ‘응답하라 1997’의 복사판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잠시, 1994년의 진한 향수를 불러온 작품은 전작과는 또 다른 매력으로 시청자를 끌어당기고 있다. 특히 지상파에선 쉬이 시도할 수 없는 금·토요일 방송이라는 파격적인 편성까지 더해 주말극의 판세를 뒤흔들고 있다. ‘케이블 드라마는 그저 그렇다’는 이야기는 어느새 옛말이 돼버렸다.
ADVERTISEMENT
MBC ‘구가의 서’, SBS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주군의 태양’ 포스터(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2013년 드라마 트렌드 중 판타지를 빼놓을 수 없다. 지난 4월에는 MBC ‘구가의 서’ 속 반인반수 최강치(이승기)가 안방극장을 마음껏 뛰놀았다. 조금은 생소한 ‘퓨전 사극’을 선보인 MBC는 인간과 신수, 어느 한쪽에도 속할 수 없었던 반인반수 역에 이승기를, 그 상대역 담여울에 ‘국민 첫사랑’ 수지를 캐스팅해 시청자를 판타지 세계로 이끌었다.지난 6월 첫 전파를 탄 SBS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20%(닐슨 코리아 기준) 대를 웃도는 시청률을 기록하며 SBS 드라마의 흥행 역사를 다시 썼다. ‘칼잡이 오수정’, ‘드림하이’ 등 이외에 장편 집필 경험이 많지 않았던 박혜련 작가는 ‘상대방의 마음을 읽는 소년’이라는 신선한 판타지를 전면에 내세웠고, 그 판타지는 제대로 통했다. 지난해 KBS2 ‘학교 2013’을 통해 급부상한 스타 이종석은 ‘너의 목소리가 들려’를 통해 이보영과 연상연하 로맨스를 그리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어 후속으로 방송된 ‘주군의 태양’도 귀신보는 여자 태공실(공효진)과 그녀의 방공호(소지섭)의 달달한 로맨스로 시청자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음은 물론이다.
ADVERTISEMENT
KBS2 ‘굿 닥터’(왼쪽), ‘비밀’ 포스터
SBS ‘돈의 화신’, ‘황금의 제국’, MBC ‘투윅스’ 등 2013년 한 해 등장한 수많은 드라마 중에서도 단연 눈길을 끄는 웰메이드작이 이었으니, 바로 KBS2 ‘굿 닥터’와 ‘비밀’이다.서번트 신드롬(자폐증이나 지적장애를 지닌 이들이 특정 분야에서 천재적 재능을 보이는 현상)을 겪고 있는 박시온(주원)이 소아외과 레지던트로 부임하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를 다룬 ‘굿 닥터’는 주원, 문채원을 비롯해 주상욱, 고창석, 곽도원 등 배우들의 호연에 힘입어 전에 본 적 없는 ‘착한 드라마’를 그려내며 의학드라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ADVERTISEMENT
# 주말·일일드라마의 치열한 ‘막장’ 대결
MBC ‘오로라 공주’, ‘금 나와라, 뚝딱!’, KBS2 ‘왕가네 식구들’(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올해 주말·일일드라마의 대결도 불꽃 튀었다.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막장’은 뜨고, ‘착한 드라마’는 졌다는 점. ‘욕하면서도 계속 보게 된다’는 막장 드라마의 힘을 확인할 수 있었던 한해였다.ADVERTISEMENT
글. 김광국 realjuki@tenasia.co.kr
사진제공. KBS, SBS, MBC, tvN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