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1994’가 인기다. 이 드라마는 기억 속에 봉인돼 있는 지나간 시절을 환기시킨다. 당장 서태지와 아이들, 듀스, 투투, 농구 연고대전 등이 추억 속에서 손을 흔든다. 그리고 이 남자들. 그해 지상에는 올림포스 산에서 태어난 아도니스의 후예 두 명이 당도했다. 한명은 ‘젊은 남자’의 생명수를 머금은 이정재라는 아도니스, 또 한명은 꼬리 아홉 개 달린 ‘구미호’마저 탄복하게 만든 정우성이라는 아도니스다. ‘아름답다’라는 단어가 여성들의 전유물이 아님을 일깨우는 두 남자의 등장은 그 자체로 센세이션이었다.

시간이 흘렀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해체했다. 듀스가 영원 속으로 사라졌다. 농구 코트 위를 폼 나게 질주하던 우지원?문경은?이상민 오빠들이 살이 오른 모습으로 얼굴을 내밀어 ‘아, 추억이여!’를 탄식하게 만든다. 하지만 정우성과 이정재라는 아도니스는 아직도 시들지 않은 육체를 은막에 전시하며 피어나는 중이다. 두 남자가 머금은 불로장생의 묘약은 뭘까.

아도니스의 후예 두 명이 당도했다

1994년 ‘젊은 남자’와 ‘구미호’로 스크린에 데뷔한 이정재와 정우성

이정재는 우아함과 예민함을 동시에 풍기는 오묘한 피사체다. 진지한 몸놀림과 적은 말수가 그가 즐겨 입는 모노톤의 복장과 어우러져 이정재라는 고급스러운 브랜드를 만들어냈다. 이정재는 1994년 ‘젊은 남자’로 스크린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듬해 드라마 ‘모래시계’에서 고현정을 지켜주는 보디가드 백재희로 분했다. 사랑하는 여인을 한 발짝 뒤에서 묵묵히 지켜내는 남자, 그 여자가 사랑하는 연인까지도 기꺼이 감내해내는 남자. 이정재는 ‘말’보다 호소력 있는 것은 ‘몸의 언어’임을 보여주며 전국 여성들의 잠들어 있는 연애세포를 깨웠다. ‘모래시계’가 끝났을 때 이정재는 언론과 광고주와 대중이 가장 주목하는 배우가 돼 있었다. 호들갑스러운 스포트라이트 속에서 이 조각 같은 사내는 자신의 마음을 터놓을 특별한 친구가 필요했다. 스타 이정재 앞에서 주눅 들지 않는, 당당하고 솔직한 친구 말이다. 그런 이정재에게 정우성은 더 없이 좋은 짝이었다.

대한민국 대표미남을 꼽는 대회가 있다면 결승전까지 무난하게 진출할 사람은 단연 정우성일 게다. 남녀 모두의 호감을 사는 그의 얼굴은 조물주가 ‘스페셜 에디션’으로 빚어낸 욕망의 그림 같다. 후줄근한 초록색 추리닝을 입고 흐느적 걸었던 ‘똥개’에서조차 여성관객들의 신음소리는 극장 안을 메웠다. 정우성은 이정재와 마찬가지로 풍요롭지 못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커피숍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연예계로 픽업됐고, 숨기고 싶어도 숨길 수 없는 외모로 CF로 불려나갔으며(당시 이정재가 광고한 크런키 초콜릿을 입에 문 여성과, 정우성을 내세운 센스민트 껌을 씹어대는 여성들이 전국에서 속출했다) 영화 ‘구미호’를 통해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이정재가 ‘모래시계’로 왕관을 쓸 때, 정우성은 ‘아스팔트의 사나이’(1995)로 대중의 관심 한복판으로 걸어 들어갔다.

이정재의 ‘모래시계’와 정우성은 ‘비트’는 전국 여성들의 잠들어 있는 연애세포를 깨웠다

신은 두 아들을 편애하지 않았다. 1995년 두 사람은 일생에 한번 주어진다는 신인상을 공동으로 나눠가진다. 시상식장에서 조우한 이정재와 정우성은 훗날, 이날의 만남에 대해 이렇게 회고한다. ‘아니 저렇게 키 크고 잘생긴 사람이 있나. 한국사람 맞아?’(이정재) ‘아, 저 사람은 진짜 남자다!’(정우성) 하지만 동족인 두 남자가 친밀해지기위해서는 ‘태양은 없다’(1998)까지 3년이라는 시간이 더 필요했다. ‘태양은 없다’는 ‘정사’를 통해 다시 한 번 도약한 이정재와 ‘비트’(1997)로 청춘의 아이콘이 된 정우성의 만남이라는 사실만으로도 뜨거운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권투가 전부인 삼류복서 도철(정우성)과 흥신소에서 폼나게 살아보려고 안간힘을 쓰는 사기꾼 홍기(이정재)의 우정은 스크린 밖으로 이어졌다. 흥신소 사장이 홍기를 해고하자 “저도 그만둘래요!” 하며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도철의 모습에는 현실의 이정재와 정우성이 투영돼 있다.

신들에게도 불황은 찾아온다

도전이라 불릴만한 선택들, 이정재의 ‘순애보’와 정우성의 ‘똥개’

‘태양은 없다’ 이후 두 사람은 닮은 듯 다른 방법으로 각자의 길을 탐색했다. 일찍이 정상의 인기를 맛본 이정재는 예술영화에도 눈길을 돌렸다. 연기 스펙트럼을 넓히기 위함이었다. ‘이재수의 난’(1998)과 ‘순애보’(2000)가 그러한 선택의 산물이다. 특히 그의 작품선택은 장르를 불허했는데, ‘모래시계’ 백재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긴 시간 고군분투했던 그는 배우를 옭아매는 이미지가 얼마나 위험한가를 알고 있었다. 도전이라 불릴만한 의외의 선택들이 이어진 건 이 때문이다. 반면 정우성은 상업영화 안에서 본인의 잘생긴 얼굴을 일부러 구기는 방법으로 대중의 선입견을 허물고자 했다. 한마디로 인간이 되고자 했다. 미끈한 슈트보다 촌스러운 꽃무늬 난방을 끌어안았고, 부잣집 아들보다 밑바닥 아웃사이더를 연기했다. ‘똥개’는 미모가 치명적인 독이 될 수도 있음을 아는 자의 선택이었다.

흥행적으로도, 작품적으로도 실패했다는 평을 받은 이정재의 ‘1724 기방난동사건’과 정우성의 ‘중천’

하지만 스타성과 작품 운이 늘 함께 있는 것은 아니었다.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이들에게도 침체기가 찾아온다. 이정재는 대작 ‘태풍’(2005)의 흥행실패로 휘청거렸다. 절치부심 끝에 선택한 ‘1724 기방난동사건’(2008)과 드라마 ‘트리플’(2009)이 연이어 무너졌다. ‘이제 한물갔다’는 소문이 들렸다. 정우성 역시 ‘내 머릿속에 지우개’(2004) 이후 ‘데이지’ ‘중천’(2006) 등이 흥행에서 힘을 못 쓰면서 ‘팬들의 충성심에 비해 작품적으로는 주목받지 못하는 배우’라는 시선에 부딪혔다.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의 성공 역시 ‘호우시절’(2009) ‘검우강호’(2010) ‘아테나(2010)’의 부진으로 빛을 바랬다. 이정재와 정우성의 시대는 저물어가는 듯 보였다. 태양은 (정말로) 없는 거였나.

태양이 다시 뜬다!

기회는 늘 의외의 곳에서 찾아오는 법이다. 2010년. 이정재는 주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임상수 감독의 ‘하녀’를 선택했다. 조연에 가까운 비중도 비중이지만, 그가 연기할 훈이라는 인물은 결코 호감이 가는 캐릭터가 아니었다. 자칫하면 기존에 지니고 있던 고급스러운 이미지마저 훼손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정재는 욕정과 허세와 잔혹함과 기품을 동시에 두른 훈을 농밀하게 연기해내며 강한 인상을 남긴다. ‘하녀’는 이정재에게 중요한 터닝 포인트가 됐다. 이정재가 작가주의 감독에게 자신을 과감하게 맡길 때, 정우성은 확고한 작가주의를 갖고 있었던 노희경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도약을 시도했다. JTBC 드라마 ‘빠담빠담, 그와 그녀의 심장박동 소리’(2012)는 비록 낮은 시청률로 종영했지만 ‘정우성의 재발견’이라는 평가를 남기며 그의 귀환을 알렸다.

2013년 연기인생의 새로운 막이 올랐다. 이정재의 ‘관상’과 정우성의 ‘감시자들’

그리고 2013년. 흥행에 성공한 ‘신세계’와 ‘관상’은 이정재 연기인생의 새로운 막이 열렸음을 기정사실화 하는 보고문이고, ‘감시자들’은 정우성 커리어의 새로운 국면이다. 하지만 우리가 진정 눈여겨봐야 할 것은 영화의 흥행이 아니다. 영화 안에서 이정재와 정우성이 구사하고 있는 전략에 주목해야 한다. 이정재와 정우성은 데뷔 때부터 줄곧 주연이었다. 하지만 이들 영화에서 두 사람은 한 발 물러나 있다. 이제 두 사람은 비중보다 캐릭터를 살피고, 부분보다 전체를 본다. 영화 속에서 그들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짧아졌을지 몰라도, 영화가 끝나고 난 후 남는 캐릭터에 대한 여운은 오히려 길다. 40대의 이정재와 정우성에겐 20대의 그들에겐 없었던 육체적 위용과 여유로움이 느껴진다. 여유라는 건 마음먹는다고 해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시간이 가져다 준 선물을 이해할 줄 아는 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스타가 쏟아져 나오는 냉혹한 쇼 비즈니스 세계에서 ‘스테디셀러’로 살아남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하지만 이정재와 정우성은 긴 세월을 견뎠고, 그 시간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사용하며 새로운 전성기를 만들어가는 중이다. 두 개의 태양이 다시 뜬다.

글, 편집. 정시우 siwoorai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