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18년 만이다. 1995년 국내 개봉 시 편집됐던 23분 분량의 미공개분 영상을 담은 <레옹>이 지난 11일 ‘디지털 리마스터링’판으로 재개봉했다. 한때 레옹 모자와 안경이 큰 인기를 끌었고, 각종 광고와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는 너 나할 것 없이 <레옹>을 소재로 다뤘다. 그야말로 ‘레옹 신드롬’이었다.
피도 눈물도 없는 ‘킬러’와 오갈 데 없는 어린 ‘소녀’의 만남. 영화는 ‘단어’가 만들어낸 인물유형의 전형성을 타파했고, 현란한 조명과 인공적인 이미지로 창조된 영상미에 관객들은 열광했다. 이젠 명실 공히 고전으로 자리 잡은 <레옹>, 재개봉을 맞이하여 그들의 필모그래피를 따라가 본다.
레옹 역 장 르노(Jean Reno)
프랑스 대표 배우 장 르노는 <레옹>에서 숨 막히는 액션신을 펼쳤다. 명불허전이었다. 하지만 전작의 성공이 부담으로 다가왔던 걸까. ‘프랑스 대표 배우’를 넘어 ‘세계적인 배우’의 대열에 올라섰지만, 그는 지난 18년간 부침을 겪어야 했다. 그는 <레옹>을 계기로 <미션 임파서블>(1996) <고질라>(1998) <다빈치 코드>(2006) 등의 할리우드 영화에 출연하며 꾸준히 인지도를 쌓았지만, 출연작들 대부분이 조연 배역에 그쳤고 영화의 인기에 편승한 느낌이 강했다. 주연을 맡았던 작품들을 통해서는 ‘이미지 변신‘을 꾀했다. 위트 있는 현대판 ’돈키호테‘로 분한 <비지터>(1993) 시리즈와 ‘레옹 2’를 표방한 <와사비>(2001) 와 같은 코미디 영화를 통해 ‘연기 스펙트럼’을 넓혔다. 그러나 코미디는 코미디로 끝났다. ‘깨알’같던 프렌치 코미디는 즐거움을 주기에 충분했지만, 그것이 장 르노의 수훈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잠깐의 외도 후엔 다시 액션물로 돌아왔다. 오랜 시간 뤽 베송 감독의 페르소나로 호흡을 맞춰 왔기에, ‘장르액션물’이 그에겐 익숙한 환경이었을 것이다. 프랑스에선 주연으로 나선 <크림슨 리버>(2000) 와 그 속편으로 일시적인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그러나 어느덧 ‘프랑스식 장르액션물’ 전문배우라는 타이틀은 장 르노에게 ‘멍에’가 되었다. 주연으로 나선 <이너 서클>(2009) <22 블렛>(2010) 과 조연 출연작 <알렉스 크로스>(2012)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액션 대작 속엔 ‘새로움’도 ‘흥행’도 없었다. 사실 따지고 보면 <레옹>의 성공 이후 국내에 소개된 장 르노의 작품들 중에는 이렇다할 흥행작이 없었던 것이다. 한편 올해 6월 그의 주연 출연작 <조>(2013) 가 관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마틸다 역 나탈리 포트만(Natalie Portman)
<레옹>은 그녀의 데뷔작이었다. 당시 12세였던 나탈리 포트만은 기성 배우와 같은 대담한 연기로 마틸다의 복잡한 내면을 풀어냈다. 한때 영화 속 그녀의 헤어스타일과 의상 등은 지금까지 회자되는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정말 될성부른 그녀는 떡잎부터 달랐던 걸까. 과거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았던 그녀는 이후 차곡차곡 자신만의 필모그래피를 채워나갔다. <레옹> 후 곧장 출연했던 <히트>(1995) <화성 침공>(1996) <스타워즈 에피소드 1: 보이지 않는 위험>(1999) 등으로 대중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며 ‘국민 여동생’으로 등극했다. 한편으론 자신의 연기 스펙트럼을 넓히는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노블리>(2000) 에선 임신한 십대의 심리를 세밀하게 그려내더니 <브이 포 벤데타>(2005) 로는 ‘브이’의 혁명 동반자 이비 역을 맡아 제32회 새턴 어워즈의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스타워즈> 시리즈를 10여년에 걸쳐 통과하며 성인이 되었고, 그 후 몇몇의 작품들을 통해 배우로서의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나탈리 포트만의 커리어 중 주지할 만한 또 하나의 사실은 그녀가 영화를 찍으면서도 학업을 계속 했다는 것이다. 하버드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그녀는 배역에 대한 이해가 남달랐고, 그 능력은 <클로저>(2004) 의 스트립댄서 역할을 소화해낼 때 빛을 발했다. 그리고 결국 2010년 <블랙 스완>을 통해 오스카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발레리나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1년여 간 매일 10시간의 특훈도 마다하지 않았던 그녀는 수상과 함께 ‘재능뿐 만아니라 노력도 겸비한 배우’라는 타이틀도 얻었다. <토르: 더 다크 월드>(2013) 와 <나이트 오브 컵스>(2013) 의 개봉을 목전에 둔 올 한해, 그녀의 비상(飛上)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감독 뤽 베송(Luc Besson)
뤽 베송은 80년대 초기의 ‘누벨 이마주’(Nouvell image, 새로운 이미지를 추구한 1980년대 프랑스 영화감독들의 작품 경향)로부터 시작한 독특한 시각적 스타일에 할리우드적 상업요소를 결합해 ‘프랑스식 장르액션물’에 한 획을 그었다. <그랑 블루>(1988) 로는 지중해 바다를 담은 뛰어난 영상미와 함께 두 사나이의 우정·도전·경쟁을 담아내 연출력을 인정받았고, <니키타>(1990) <니나>(1993) 등의 스타일리쉬한 액션물도 직접 연출했다. <레옹> 이후의 뤽 베송은 점차 연출뿐 만이 아닌, 제작·각본 분야로 자신의 영역을 확장해나갔다. 특히 <잔다르크>(1999) 이후로는 주로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 그의 능력은 연출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게리 올드만의 감독 데뷔작이기도 한 <닐 바이 마우스>(1997) 의 제작에 참여하여 제51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알렉산더 코다 상’을 수상하기도 했고, 제작·각본에 참여한 <택시>(1998) 와 <트랜스포터>(2002) <테이큰>(2008) 시리즈는 여러 편의 속편이 제작될 정도로 흥행에 성공했다. 각본부터 제작·연출까지 전 영역에 참가한 <아더와 미니모이: 제1탄 비밀 원정대의 출정>(2006) 으로 판타지 애니메이션 영역으로의 진입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동일한 스타일 안에서의 계속되는 ‘사소한 변주’는 새로움이 없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2011년 제작·연출을 맡은 <더 레이디>로 제 34회 밀 밸리 영화제 ‘액티브 시네마’ 부문 시상 후 침묵하고 있는 뤽 베송. 올해 개봉을 앞둔 제작 참여작 <플로라 플럼>(2013) 과 연출·각본 참여작 <말라비타>(2013) 에 관심이 집중되는 까닭이다. 아 참, 한 가지 더. 뤽 베송은 <제5원소>(1997) 가 한국에서 상영할 당시 상영 횟수를 늘리기 위해 감독의 허락 없이 ’20분‘을 잘랐다는 이유로 차기작인 <택시>에서 한국인 택시기사를 비하하는 듯한 내용을 담아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그는 2011년 10월 11일 부산 영화의 전당 아카데미룸에서 진행된 ’마스터 클래스-마이 라이프, 마이 시네마 뤽 베송‘ 행사 중에 “한 나라에 대해 지속적으로 나쁜 인상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 레이디>는 부산에서 전혀 자르지 않고 상영해줘서 고마웠다”며 반한(反韓)설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글.김광국 realjuki@tenasia.co.kr
편집.홍지유 jiyou@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