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맨 오스 스틸> 포스터"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왼쪽), <맨 오스 스틸> 포스터
한국에서는 역시 김수현이다. 슈퍼히어로의 1세대 슈퍼맨도 김수현의 벽을 쉽사리 넘지 못했다. 김수현 주연의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2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개봉 12일 만에 누적 5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슈퍼맨 리부트 <맨 오브 스틸>은 단 3만 여 명 차이를 넘어서지 못해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2013년 24주차(6월 14~16일) 극장가는 <은밀하게 위대하게>와 <맨 오브 스틸>, 두 영화의 양보 없는 다툼이 흥미를 끌었다. 17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은밀하게 위대하게>는 925개(상영횟수 1만 4,612회) 상영관에서 105만 3,989명(누적 526만 7,937명)을 불러 모았다. <맨 오브 스틸>은 998개(1만 4,315회) 상영관에서 102만 5,796명(120만 5,692명)을 동원했다. 3위부터는 10만 이하일 만큼 24주차 극장가는 두 편의 영화가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맨 오브 스틸>은 13일 개봉일 17만 8,964명을 동원하며 15만 여 명의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하지만 14일 22만 1,498명을 기록한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21만 8,774명을 모은 <맨 오브 스틸>을 근소한 차이로 따돌렸고, 15~16일에도 유지됐다. 16일 두 영화의 관객수 차이는 정확히 1,000명에 불과하다.(왼쪽) <맨 오브 스틸> 스틸"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왼쪽) <맨 오브 스틸> 스틸
상영관수와 상영횟수도 비슷하다.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맨 오브 스틸> 보다 상영관수는 적고, 상영횟수는 많다. 이는 상영시간의 차이. <은밀하게 위대하게>는 123분, <맨 오브 스틸>은 143분이다. 좌석점유율에선 엎치락 뒤치락이다. 15일에는 50.6%를 기록한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48.3%의 <맨 오브 스틸>을 근소하게 앞섰지만 16일에는 <맨 오브 스틸>이 43.1%로 42.5%를 기록한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눌렀다. 특히 흥미로운 건 흥행 수익을 기준으로 삼는 북미 박스오피스였다면 24주차 1위 자리는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아니라 <맨 오브 스틸> 차지다. 82억 6,194만 5,639원의 매출액을 올린 <맨 오브 스틸>이 75억 3,360만 7,589원에 불과(?)한 <은밀하게 위대하게> 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렸다. 이는 3D 상영에 따른 것이다. 참고로 북미에서의 흥행은 어마어마하다. 4207개 상영관에서 1억 1,308만 달러(누적 1억 2,508만 달러)의 수익을 올려 역대 6월 오프닝 주말 1위를 차지했다.ADVERTISEMENT
그들만의 리그
2013년 24주차(6월 14일~16일) 국내 박스오피스 순위.
1~2위를 제외하곤 크게 눈에 띌 만한 작품이 없었다. 10위권 내 신규 개봉작은 <맨 오브 스틸>이 유일했다. 더욱이 3위부터는 1~2위 두 편의 틈에 끼어 숨조차 제대로 못쉬웠을 정도다. 무엇보다 상영횟수가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대부분 60% 이상의 관객 감소를 기록했다. 먼저 전편의 성적에 비해 아쉬울 게 없는 <스타트렉 다크니스>과 전편을 넘었지만 뭔가 아쉬움이 남는 <무서운 이야기2>는 각각 308개(2,628회) 상영관에서 9만 7,185명(146만 7,272명), 281개(2,473회) 상영관에서 6만 2,485명(누적 46만 5,683명)을 기록했다. 2,000회 이상 상영횟수가 줄어든 <스타트렉 다크니스>는 65.8%(18만 6,920명), <무서운 이야기2>는 63.8%(11만 289명) 감소했다.ADVERTISEMENT
6위를 차지한 <분노의 질주:더 맥시멈>는 121개(672회) 상영관에서 2만 1,323명(누적 177만 4,069명)으로 마무리에 접어 들었다. 개봉 2주차를 보낸 <백악관 최후의 날>은 86개(550회) 상영관에서 1만 1,290명(누적 16만 1,751명)으로 벌써 마무리 단계다. 부진을 면치 못했던 <애프터 어스>는 개봉 3주차에 고작 15개(58회) 상영관에서 과객들을 만났고, 순위는 20위까지 밀려났다. <몽타주> 역시 54개(318회) 상영관에서 5,142명(누적 208만 9,913명)을 기록,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왼쪽) <마이 라띠마> 스틸" />영화 <비포 미드나잇>(왼쪽) <마이 라띠마> 스틸
한편, <비포 미드나잇>은 41개(267회) 상영관에서 9,014명(누적 16만 3,436명)을 동원해 10위권 밖에서 다시 8위로 상승했다. 물론 순위 상승만 눈에 띄었을 뿐이다. 유지태 연출작 <마이 라띠마>는 29개(124회) 상영관에서 1,476명(누적 5,781명)으로 상승세를 탔다. 개봉 첫 주(28개, 180회) 보다 상영횟수가 줄었음에도 관객수는 378명(34.4%) 증가했다. 순위도 17위에서 15위로 상승했다. 흥행 반등을 타고, 누적 1만 관객을 돌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ADVERTISEMENT
스틸" />영화 <월드워 Z> 스틸
<월드워Z>는 24주차 개봉작 중 단연 눈에 띄는 작품. 주연 배우인 브래드 피트가 직접 한국을 찾기도 했다. 할리우드 스타의 내한이 흥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빈 디젤이 될지, 윌 스미스가 될진 1주일 후면 알 수 있다. 한국 합작 영화인 오기환 감독의 <이별여행>도 눈여겨 볼 만하다. 이미 중국에선 상당한 흥행을 거둔 작품이다. 육감공포 스릴러를 표방한 <꼭두각시>, 싸이코패스 스릴러 <닥터> 등이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글. 황성운 jabongdo@tenasia.co.kr
편집. 홍지유 jiyou@tenasia.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