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화면 캡처" /><장옥정 사랑에 살다> 방송화면 캡처
SBS <장옥정, 사랑에 살다> 17회 2013년 6월 3일 오후 10시 방송다섯줄요약
ADVERTISEMENT
리뷰
왕보다 더 기세등등한 신하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가까스로 한 걸음 한 걸음을 내딛으며 일어서야 했던 숙종 이순. 첫 아들을 본 그는 이제 군주로서 또 사내로서 제2의 도약을 해야만 했다.
ADVERTISEMENT
자신의 아들을 세자로, 또 아들의 어미를 중전으로 만들기 위해서 숙종은 이를 반대하는 서인과 마지막 한판승을 벌여야 했다. 그러기 위해 선택한 것은 사즉필생이었다.
숙종이 쓰러져 자리보전하자, 대궐은 온통 쑥대밭이 되었다. 이미 제 손아귀에 쥐고 흔들 수 없는 왕이 돼버린 숙종은 서인들에게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자연히 반정을 꾀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기 시작했다. 쓰러지기 전 동평군(이상엽)과 대면한 숙종은 지리한 서인과의 싸움을 끝맺으려는 의지를 보였다. 그러면서 희빈을 중전의 자리에, 원자를 세자로 책봉하려는 마음을 드러내고 그러기 위해서는 잠시 발톱을 감추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모두가 다 아는 뻔한 장옥정 이야기가 특별해지는 순간은 숙종 이순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비출 때이다. 사내의 본능과 정치가로서의 야심, 그 둘을 절묘하게 가져가는 숙종 이순의 지략은 맥이 빠져버린 궁궐여인들의 식상한 암투 사이를 비집고 스며들어와 새로운 긴장감을 부여한다.
또한 옥정을 보호하려는 왕의 마음이 커지면 커질수록 그 찬란한 사랑이 변심하게 되는 과정이 더 궁금해진다. <장옥정, 사랑에 살다> 속 신의 한수는 역시 숙종이었다.
ADVERTISEMENT
-희빈에게 뺨 맞았던 중전 처소의 상궁. 매회 희빈에게 굴욕을 당하면서도 늠름한 저 기세라니. 이제 ′티벳궁녀’′만큼 뜰 법도 한데요.
-희빈의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는 것이 찜찜하다는 민유중 대감의 마음이야 이해하겠지만, 불임인 딸이 중전 자리에 있는데 다른 방도도 없지 않나요? 대궐 상황이 손바닥 안에 있는 그에게 딸의 불임 소식은 왜 이렇게 더디게 전해지는 걸까요? 이 답답이! 직접 가서 알려주고 싶을 지경!
ADVERTISEMENT
글. 배선영 sypov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