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 /><백악관 최후의 날> 포스터.
국제 사회의 경고에도 군사적 도발과 핵실험을 멈추지 않는 북한. 언제 어디로 튈지 모르는 북한이 야기하는 ‘한반도 리스크’에 대처하기 위해 한?미 고위급 회담이 성사된다. 바로 그 날, 백악관이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에 놓인다. 한국 측 경호요원으로 위장한 북한 출신 테러리스트 강(릭윤)과 그가 이끄는 테러단체는 불과 13분 만에 백악관을 점령한다. 인질로 잡힌 미국 대통령(아론 에크하트)을 구하기 위해 전직 경호원이던 마이크(제라드 버틀러)가 홀로 백악관으로 진입한다. 기명균 : 너무 간단한 백악관 테러, 현실적인 동시에 비현실적인. ∥ 관람지수 - 6 / 액션 지수 - 7 / 한국말 지수 - 5황성운 : 요즘은 악역도 매력이 있어야 하는데. ∥ 관람지수 – 6 / 액션 지수 - 7 / 한국말 지수 – 4
2eyes ∥ 백악관이라는 공간
ADVERTISEMENT
황성운 : 백악관이 공격당하는 모습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백악관이 공격당한다는 소재를 다룬 <화이트 하우스 다운>의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은 “미국은 현존하는 슈퍼파워고, 그 중심이 백악관”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만큼 백악관은 상징적인 의미가 큰 건물. 동시에 가장 미국적인 건물이기도 하다. 이는 곧 미국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뜻하기도 한다. 짧은 시간 안에 점령당했다 하더라도 결코 무너지지 않는다는 것을 은연중에 강조한다.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도 여유를 보이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가 아닐까.
스틸" />< 백악관 최후의 날> 스틸
2eyes ∥ 스토리의 단조로움을 메우는 배우들의 연기ADVERTISEMENT
황성운 : <백악관 최후의 날>은 결말이 정해져 있는 영화. 할리우드가 북한 테러리스트에게 백악관을 내준 채 끝을 맺진 않을 테니. 그렇다면 중요한 건 이미 정해진 결말로 향하는 과정을 얼마나 재밌고, 몰입시키느냐에 달려있다. 그 점에 있어 이 영화는 배우들의 매력에 기대고 있다. 북한 테러 집단에 홀로 맞선 제라드 버틀러는 변함없는 액션 감각을 뽐냈다. 그의 ‘액션 원맨쇼’는 박진감을 주기엔 충분하다. 단조로움은 어쩔 수 없는 부분. 악역 캐릭터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는 점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다. 릭윤이 좀 더 매력적인 악역 캐릭터였다면, 제라드 버틀러와 좀 더 멋진 승부가 펼쳐졌을 것 같다.
스틸" /><백악관 최후의 날> 스틸
2eyes ∥ 테러단체는 모두 ‘미치광이’?ADVERTISEMENT
황성운 : 할리우드 영화에서 북한이 영화의 중심에 있었던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아무래도 최근 할리우드가 찾은 최고의 악당이 ‘북한’인 듯싶다. 계속해서 미국의 심기를 건드렸던 북한, 그에 따라 할리우드 내 위상이 높아진 걸까. 미국에게 북한은 민감한 대상. 그리고 그들의 눈에 북한은 어쩌면 영화 속처럼 ‘미치광이’로 보일 수도. 그들의 그런 시각이 반영된 게 아닌가란 생각을 해본다. 북한이 백악관을 점령하는 영화 속 내용, 그들에겐 충분히 ‘현실’적일 수 있다. 1억 달러에 가까운 흥행 수익이 그런 시각을 어느 정도 대변하는 것 같다. 물론 영화만 놓고 봤을 땐 단순한 선악구조와 그들만의 명분조차 없는 테러리스트의 행동 등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북미가 아닌 다른 곳에서는 영화적인 힘으로 흥행을 일굴 수 있을까.
스틸" />< 백악관 최후의 날> 스틸
2eyes ∥ 한국어 기능 탑재된 로봇들의 연기ADVERTISEMENT
황성운 : 북한 소재다 보니 우리 입장으로 치환해서 생각하는 것 같다.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사실 미국 입장에서는 완벽한 한국어 구사 능력이 그리 중요하지 않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해가 가는 지점이다. 할리우드 영화가 분명 전 세계를 타깃으로 하지만 그렇다고 한국어 구사 능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나라가 있을까. 더욱이 한국을 제외하곤 다 자막처리가 될 텐데. 물론 그렇다 하더라도 아쉬움은 있다. 한국 영화 시장은 할리우드에서도 예의주시하는 곳. 그럼에도 한국에 대한 배려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아주 조금만 신경을 썼다면 어색한 한국어는 손쉽게 수정 가능했을 터. 그도 아니면 한국어가 능숙한 배우를 한 명 쯤 썼더라면 하는 생각이다. 그런 점에서 국내 관객들에겐 분명 기분 상할 일이다. 만약 <백악관 최후의 날>의 미국 관계자들이 국내 극장에서 영화를 함께 관람한다면, 예상치 못한 지점에서 웃음을 터트리는 국내 관객들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글. 황성운 jabongdo@tenasia.co.kr
기명균 kikiki@tenasia.co.kr
편집. 홍지유 jiyou@tenasia.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