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김해인 인턴기자]
영화 ‘1987’ 포스터/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영화 ‘1987’(감독 장준환)이 27일 개봉을 맞이해 제작 뒷이야기를 공개했다.

‘1987’ 제작진은 1987년의 분위기를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영화의 작은 부분까지 진심을 쏟았다.장준환 감독과 제작진은 부산에서 열린 故 박종철 열사의 30주기 행사에 참석해 유가족들을 만났다. 유가족들은 영화 제작을 흔쾌히 허락한 것은 물론, 故 박종철 열사의 유품인 안경을 빌려줬다. 실제 영화에 등장하는 소품은 이 안경을 모델로 똑같이 제작됐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역시 실제 역사의 주인공들과 배우들의 노력이 숨어있다. 엔딩을 장식하는 대규모 시위 장면에는 주연 배우부터 보조 출연진까지 모든 배우들이 참여해 열연을 펼쳤다. 시위대의 함성 속에서 배우 문소리의 목소리가 들려 놀라움을 안긴다. 문소리는 이 장면을 촬영할 당시 선두에 서서 가장 큰 목소리로 ‘호헌철폐, 독재 타도’를 외쳤다. 또 보조 출연진들에게는 적극적으로 연기를 지도하며 영화를 향한 남다른 애정을 보였다.

1987년 당시 대표적인 민중가요였던 ‘그날이 오면’은 ‘1987’의 주요 테마곡이자 마지막 장면을 장식하는 노래다. 광장을 함성으로 채운 시민들의 모습과 함께 ‘그날이 오면’이 흘러나오고, 영화는 1987년의 시간 속으로 관객들을 이끈다. 영화에서 사용된 ‘그날이 오면’은 이한열 합창단이 직접 녹음한 곡이다. 이한열 합창단은 연세대학교 87학번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으며 영화의 취지에 뜻을 보태기 위해 녹음에 참여했다. 당시를 직접 겪은 학생들이기에 그들의 목소리가 영화의 완성도를 높여줬다.‘1987’는 명동 성당 내부를 촬영해 영화의 의미를 더하기도 했다. 제작진은 오픈 세트를 지어 연세대학교 정문부터 시청광장·명동 거리 등을 재현했다. 그중 1987년의 시대 상황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장소는 명동성당이다. 명동성당은 실제 각종 집회와 민주화를 촉진하는 성명서가 발표됐던 곳이었다.

‘1987’은 한국 영화 최초로 명동성당 내부 촬영을 허가받았고, 역사의 일부를 카메라에 생생히 담아냈다.

이처럼 ‘1987’은 당대의 분위기를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실제 역사의 주인공들의 도움을 받아 영화를 완성했다.

김해인 인턴기자 kimhi@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